티스토리 뷰
2025년부터 난임치료휴가가 6일로 확대됩니다. 특히 유급 2일이 포함되어 난임 부부의 부담을 줄일 수 있게 되었습니다.
난임치료휴가의 주요 변경 사항과 신청 방법, 혜택을 자세히 안내합니다.

1. 난임치료휴가 확대 주요 내용 및 유급일 변화
2025년 육아지원 3법 개정안에 따라 난임치료휴가가 기존 3일에서 6일로 확대됩니다.
이 중 2일은 유급, 나머지 4일은 무급으로 적용됩니다.
🔑 핵심 변화:
- 기존: 3일 (전액 무급)
- 2025년부터: 6일 (유급 2일 + 무급 4일)
- 연 1회 사용 가능
혜택 대상:
- 난임 진단을 받은 근로자 및 배우자
- 부부 중 한 명만 신청 가능
2. 난임치료휴가 신청 방법 및 신청 시기
1. 신청 대상
- 난임 진단서를 제출한 근로자
- 배우자도 신청 가능(근로자로서 소속된 경우)
2. 신청 절차
- 회사에 난임치료휴가 신청서 제출
- 난임 진단서 첨부
- 인사팀 승인 후 난임치료휴가 사용
3. 신청 시기
- 치료 일정에 따라 유연하게 사용 가능
- 연 1회 사용 (6일을 분할 사용 가능)
3. 난임 부부를 위한 정책 변화의 사회적 의미
1. 부담 완화
- 난임 치료 비용과 시간 부담을 덜어줄 수 있습니다.
- 유급 2일로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.
2. 일·가정 양립
- 난임 부부가 치료와 직장 생활을 병행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됩니다.
3. 출산율 제고
- 난임 부부의 치료 접근성을 높여 출산율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.
2025 난임치료휴가 확대 – 자주 묻는 질문(FAQ)
2025년부터 난임치료휴가가 최대 6일로 확대됩니다. 유급 2일이 포함되어 난임 부부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전망입니다.
난임치료휴가의 신청 방법, 대상, 혜택 등에 대해 자주 묻는 질문을 정리했습니다.
1. 난임치료휴가는 누구를 위한 제도인가요?
- 난임 진단을 받은 근로자 및 배우자를 위한 제도입니다.
- 부부 중 한 명만 신청 가능하지만, 근로자인 경우 배우자도 신청할 수 있습니다.
2. 난임치료휴가는 연 몇 회까지 사용할 수 있나요?
- 연 1회, 최대 6일 사용 가능합니다.
- 필요에 따라 나눠서 분할 사용도 가능합니다.
3. 유급으로 사용할 수 있는 날은 몇 일인가요?
- 유급 2일, 무급 4일로 총 6일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
- 유급 2일 이후는 무급으로 처리됩니다.
4. 난임치료휴가 신청 방법은 어떻게 되나요?
- 회사 인사팀에 난임치료휴가 신청서 제출
- 난임 진단서 첨부
- 승인 후 연차와 별도로 사용 가능
5. 난임치료휴가는 공무원도 사용할 수 있나요?
- 네, 공무원 및 민간 근로자 모두 사용할 수 있습니다.
- 300인 이상 사업장은 의무 시행, 300인 미만 사업장은 자율 시행입니다.
6. 난임치료휴가를 사용할 때 별도의 의료기관이 지정되어 있나요?
- 모든 의료기관에서 사용 가능합니다.
- 다만, 난임 진단서 발급이 가능한 병원이어야 합니다.
7. 배우자도 난임치료휴가를 사용할 수 있나요?
- 네, 배우자도 근로자인 경우 동일하게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- 부부가 각자 6일씩 사용 가능합니다.
8. 난임치료휴가 중 급여는 얼마나 지급되나요?
- 유급 2일은 통상임금 100% 지급됩니다.
- 무급 4일 동안에는 급여가 지급되지 않습니다.
9. 난임치료휴가와 병가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나요?
- 동시에 사용할 수 없습니다.
- 난임치료휴가는 별도의 독립된 휴가 제도로 연차, 병가와 구분됩니다.
10. 난임치료휴가 신청에 필요한 서류는 무엇인가요?
- 난임 진단서, 휴가 신청서, 직장 내 인사팀 요청 서류 등이 필요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