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2025 신혼부부 세액공제 혜택 총정리 | 최대 100만 원 절세, 취득세 감면, 자녀 세액공제 확대
혼인신고부터 연말정산까지 신혼부부가 꼭 알아야 할 세금 혜택! 취득세 50% 감면, 출산지원금 비과세 등 실질적인 절세 정보를 확인하세요.
신혼부부 세액공제로 얻을 수 있는 실질적 혜택
- 최대 100만 원 절세 – 부부 각각 50만 원 세액공제 혜택
- 주택 취득세 50% 감면 – 첫 주택 구매 시 부담 완화
- 자녀 공제 확대 – 자녀 1명당 최대 40만 원까지 세액공제 증가

신혼부부 세액공제 및 소득공제 주요 내용
- 적용 대상:
- 2024년 1월 1일부터 2026년 12월 31일 사이에 혼인신고를 한 부부
- 공제 금액:
- 부부 각각 50만 원씩, 최대 100만 원 세액공제
- 적용 시기:
- 혼인신고 다음 해 연말정산 시 적용
- 적용 횟수:
- 생애 1회 (초혼, 재혼 관계없이 1회)
특징
- 혼인신고만으로 자동 적용되며, 소득 수준에 관계없이 공제 혜택 제공
- 연말정산 또는 종합소득세 신고 시 공제 적용 가능

자녀 세액공제 확대 및 출산지원금 비과세 혜택
- 자녀 세액공제 확대
- 첫째 자녀: 기존 25만 원 ➝ 35만 원
- 둘째 자녀: 기존 30만 원 ➝ 40만 원
- 셋째 자녀 이상: 기존 40만 원 ➝ 50만 원
- 출산지원금 비과세
- 적용 대상: 직장에서 지급하는 출산지원금
- 비과세 범위: 전액 비과세 (2025년부터 적용)
신혼부부 주택 취득세 감면 및 청약 특별공급 혜택
- 주택 취득세 감면 혜택
- 감면 비율: 취득세 50% 감면
- 적용 조건:
- 부부 합산 연소득 7,000만 원 이하
- 주택 가격 1.5억 원 이하
- 혼인신고 후 5년 이내 첫 주택 구매 시
- 청약 특별공급 혜택
- 대상: 혼인 기간 7년 이내 무주택 신혼부부
- 우대 비율:
- 공공분양 아파트: 30% 특별 공급
- 민간분양 아파트: 20% 특별 공급
2025 신혼부부 세액공제 – 자주 묻는 질문(FAQ) 총정리
신혼부부들이 자주 궁금해하는 세액공제와 관련된 질문을 모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했습니다. 절세 방법부터 주택 취득세 감면까지 꼼꼼하게 확인해보세요.
1. 신혼부부 세액공제는 누구나 받을 수 있나요?
네, 2024년 1월 1일부터 2026년 12월 31일 사이에 혼인신고를 한 부부라면 소득에 관계없이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.
2. 세액공제 금액은 얼마인가요?
부부 각각 50만 원, 최대 100만 원까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.
3. 언제부터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나요?
혼인신고를 한 해의 다음 해 연말정산에서 자동으로 적용됩니다. 예를 들어, 2025년에 혼인신고를 했다면 2026년 연말정산에서 공제됩니다.
4. 세액공제는 초혼만 해당되나요?
아닙니다. 초혼, 재혼 모두 1회에 한해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.
5. 자녀 세액공제도 함께 받을 수 있나요?
네, 첫째 35만 원, 둘째 40만 원, 셋째 자녀 이상 50만 원까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. 자녀가 많을수록 절세 혜택이 커집니다.
6. 주택 취득세 감면 혜택은 어떻게 적용되나요?
부부 합산 소득 7,000만 원 이하이고, 1.5억 원 이하의 주택을 혼인신고 후 5년 이내에 구매하면 취득세의 **50%**를 감면받습니다.
7. 출산지원금 비과세 혜택은 무엇인가요?
2025년부터는 직장에서 받는 출산지원금이 전액 비과세 처리됩니다.
8. 청약 특별공급 대상은 어떻게 되나요?
혼인 7년 이내 무주택 신혼부부에게 **공공분양 아파트 30%, 민간분양 아파트 20%**가 특별 공급됩니다.
9. 세액공제를 받기 위해 따로 신청해야 하나요?
아니요. 별도 신청 없이 혼인신고와 연말정산만으로 자동 적용됩니다.
10. 혼인신고 이후 2주택자가 되면 세액공제가 가능한가요?
네, 일시적으로 2주택자가 되어도 5년간 1세대 1주택자로 인정됩니다.